작년부터 재정부를 맡게 되면서 1차적으로 엑셀에서 관리프로그램으로 정착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평소 5시간에서 계수 및 엑셀 작업에서 2시간 반정도로 효율이 개선이 되었다.

현재 계수 정리 인원이 4명이니깐  2.5h x 4명x 52week = 520hour 이다.

2019 최저임금은 시간당 8,350원. 따라서 총 절약 금액은 약 430만원이다.


물론 도입 관련된 정착 작업까지 2중 작업 비용과 기안 및 검토 작업 시간은 제외.


내 인건비가 비싸니깐 작년은 8월 부터 도입했으니 , 그동안 절약된 건 그냥 퉁치고,

프로그램 도입으로 인한 도입 및 수수료 제외하면 

앞으로 매년 400만원정도의 기회비용이 절약되는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눈여겨 보고 있는 바로 아래 헌금봉투함!

사람이 일일이 헌금봉투에 구역과 이름을 하나하나 확인하고 이름 자리에 정확히 넣어야 한다.


현재는 아이디어만 구상 중인데 머리속으로는 간략한 부품 선정 및 설계는 완료된 상태.


1. 리눅스 보드

2. LED reel

3. 바코드 리더


헌금봉투에 바코드를 붙여서 , 인식시키면 해당 구역 전체줄이 녹색으로 켜지고 ,

그 중에서 봉투 이름자리는 녹색으로 깜빡깜빡하게 만들기.

관련 이름 db  컨버팅용 윈도우 프로그램도 작성해야 할 듯 하다.


30분을 5분으로 절약이 가능한데 매주 25분 절약이면 1300분이고 , 

21.6시간(2019 기준 약18만원)을 매년 허공에 날리고 있다.


그런데 내가 작업하면 자재 비용 및 개발 시간이 이것보다는 더 걸릴거 같은데 

기회비용대비 비교해보면 우리 교회만 사용한다면 확실히 낭비 같기도 하다.


이게 낭비가 되지 않으려면 최소 20-30교회가 사용한다면 전체적으로 그 숫자 이후로는 이익이 발생하는 셈.


하지만 한 손 가득 봉투를 들고 이리저리 쩔쩔매며 봉투를 집어놓고 계시는 분들을 바라볼 때

우리 교회라도 먼저 해야 될 것 같은 생각도 든다.


이정도는 천조국이라면 아두이노 가지고 초딩들이 방과 후 과제로 충분히 할 수 있을거 같은데, 

우리나라에서는 기대하기 힘들겠지.


그리고 글적다가 구글에서 가져온 헌금봉투함 사진에 보면

 위에 적힌 문구가 보이는데, 이게 과연 헌금을 해서 예수님이 하신 말씀으로 생각한건지

광고의 의미로는 정말 잘 가져가 붙였다는 생각이 든다. 


눅 10:20 절은 전도자들 칭찬하신 말씀인데. 그걸 여기다 왜 붙여! 

물론 매우 넓은 의미로서는 맞는 말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해석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교회 전산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 교적 재정 프로그램  (3) 2018.03.09
현대 오피스 동전 보관함 HCS-500  (0) 2018.01.25
재정 관리 프로그램 도입 고민  (0) 2018.01.09

현재 170인치 1.2Gain 스크린에 6,000안시 xuwga 프로젝터를 스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론상 전체 12,000안시.


1번 프로젝트의 밝기가 사용시간 2000시간중 1200이상 사용하여 많이 어두워진 상태로

4,000안시로 떨어짐을 가정하고 2번 새 프로젝트의 6,000안시 밝기를 더하면 현재 약 10,000안시로 사용중인 상태이다.


훨씬 색상이 또렷하고 선명해졌다.


약 170인치에서는 10,000안시 이상을 사용하여야 적절한 밝기로 사용이 가능할 듯 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7,000안시 이상은 가격대가 700-800만원 이상부터 시작하므로 150-180인치를 사용하는 곳은

5,000안시 이상 2대로 stack 하는 것이 제일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니 방송실 관련 관리자가

관련 장비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이 없다면 10,000안시 이상의 프로젝터 1대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주변 교회들 LED 설치한 곳을 몇번 보았는데 밝기만 밝고 색상이나 해상도가 엉망인 경우를 많이 보았다.

나중에는 눈이 피곤하여 계속 보는 것이 부담스러웠는데  LED 스크린은 화면 조도 설정하는 기능이 없는 건지

과한 밝기로 청중을 괴롭히는 것 같았다.

이번 설치로 LED 스크린으로 바꾸자는 이야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듯.



 현재 170인치에서 6,000안시(WUXGA)를 사용중인데 원래 밝기가 조금 모자랐고

램프 수명도 다 되어가서 더더욱 어두워졌다. 그렇다고 설치한지 2년된 모델을 바꾸기도 아깝거니와,

7,000-8,000안시 새모델을 구입한다고 해서 많이 밝아지는 것도 아닐 것 같아서 고민이 많이 되었다.


생각끝에  프로젝터 2대로 1화면을 비추는 방법인 스택킹 방법을 이용해보기로 결정한다.


일단 기존에 봉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해당 무게를 지지해줄지도 모르고 브라켓도 없고 지방이라 설치를 해줄 수 있는 업체도 없어서 자체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1. 브라켓 제작

  - 기존 프로젝터의 도면을 입수한 뒤 캐드로 작업하고 스테인레스 제작 업체에 맡겼다. (설계 포함 약 2주 소요)

  - 고려하지 않은 구멍이 있어서 스테인레스 드릴로 재작업. (사실 프로젝터의 제대로 된 도면을 구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계)




2. 설치

  - 아래단에 설치할 제품을 먼저 체결한 뒤에 아시바로 올려서 3명이서 작업.



  - 설치 완료된 상태. 설치작업만 3시간 걸림.

  - 제대로 된 스택 브라켓을 새로 설치하는 것으로 추천함.



3. 세팅

  - 이게 보통일이 아니다. 일단 1대를 먼저 키스톤 맞추어 세팅하고 난 뒤 , 2번째 프로젝터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다들 안할려는 이유가 있었다. 오른쪽을 맞추면 왼쪽이 틀어지고 위쪽을 맞추면 아래쪽이 틀어지고를 반복.
    그러나 시간이 걸릴뿐 안될 일은 없다.
 - 하다보니 나름 노하우가 생겼다. 언제가 다시 맞추어야 될텐데 그때는 1시간내에 완료될 듯.
 - 리모콘은 ID 세팅을 통하여 각각 조정하도록 설정하였다. 켜고 끌때 한대씩 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프로젝터에 리모콘 아웃이 있으면 기존 리모콘 라인으로 기능 가능)
 - 렌즈 시프트와 모서리 상세 키스톤이 지원하는 모델이라면 전부 가능할 것 같음.

4. 완료
  - 이전 화면 (1대 70% 사용 램프)


  - 설치 후 화면 (2대 스택, 1대 100% 램프 + 1대 30% 램프)

    사진으로는 그렇게 달라보이지 않는데 밝아졌다는 느낌보다는 색상이 더 또렷해진 느낌이 더 강하다.

    6,000안시가 12,000안시로 탈바꿈되는 순간.

    -> 1대 램프가 오래되어서 실제 밝기는 약 10,000안시 수준인 듯.

 - 12,000안시(WUXGA) 사려면 약 1,700-2,000만인데 1/4 가격으로 해결. 물론 설치한 방송부원들의 인건비와 도면 제작 및

    관련 정보 수집 및 세팅 인건비는 제외.

 - 처음에는 안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고민이 많았으나 대만족.




5. 결론
  - 역시 돈주고 맡기는 게 정신 건강에 좋다. (그러나 브라켓 제작부터 시작해서 리스크가 많아서 하려는 업체가 없을 듯)
  - 아시바가 너무 흔들려서 고소 공포증 있는 사람은 보험들고 올라갈 것.
  - 가끔식 세팅 정렬 필요
  - 켜고 끌때 귀찮음.
  - 엄청나게 비용은 절약됨.
  - 해당 방법에 의구심을 가졌단 사람들 (본인 포함) 밝기 및 선명도에 대하여 대만족.

  - 초기 설치시 제대로 브라켓 천장에 설치해서 2대 설치를 했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됨.

    (아니면 1대 설치해도 스택 브라켓으로 천정에 미리 설치하면 천천히 예산 모아서 프로젝터 동일 모델 한대 더 구입하면

     추후 밝기 2배 가능)

  - LED 스크린으로 바꾸려다 예산 절감. 눈도 안부시고 딱 좋음!





스택킹 이후로 심심하면 해야 되는 촛점 맞추기.

https://onairit.tistory.com/95?category=7052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