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새번역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해초 개역개정이 나온다고 해서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소식이 아직 없네요.

 

이것만 해결되면 정말 짱일텐데. 한국 시장에서 소외되는 제일 큰 이유입니다.

생각나는 김에 본사에 독촉 Ticket 한번 발행해봐야겠네요.

물론 항상 답변은 없지요....

 

 

https://renewedvision.com/store.php?item=bibles

 

Bibles for ProPresenter | Renewed Vision Store

 

renewedvision.com

 

일단 2가지 조처를 해두었습니다.

 

1. 성경 역본 요청 포럼에 요청

https://forums.renewedvision.com/forumdisplay.php/25-Bible-Translation-Requests

 

여기가 공식 요청 채널로 보입니다.

 

2. 페이스북 propresentor 공식 계정에 요청 게시물 

 

이정도 했으면 제 할일은 다한거 같습니다 T.T

프로프리젠터 7 이 나왔습니다~~

제가 나름 파악한 프로프리젠터 7은 아래와 같습니다.
급하게 정리한거라 혹시 다를 수도 있으니 계속 업뎃해 나가겠습니다~~

1. UI 변경
2. 복수 언어 바이블(영어/한글 등) 디스플레이
3. 다이나믹 텍스트 스케일링 (PPT 처럼 크기에 맞게 자동 글자 크기 변환)
4. 슬라이드 노트 기능 변화
5. 링크 텍스트 박스 ( 텍스트는 하나이나 연결된 박스에 동일 글자 포맷 다르게 여러게 출력 가능)
6. 별도 판매 모듈 기본 내장 (이게 대박이네요~~~)
7. 현재 윈도운 버전만 한글 제공
8. Look Panel 로 화면별 레이어 선택 가능 (예) 로비로 나가는 화면에 레이어를 선택)
9. 특히, 윈도우 버전은 64비트 기반 재코딩. (테스트 해봐야겠지만 이전처럼 데모 수준은 아닐껍니다. 트라이얼 받아서 테스트 해보세요)
10. 가격은 동일하나 1년 후 지원은 매년 갱신 형태로 바뀌었습니다.
최초 1년동안은 무료 업데이트 및 지원이 가능하고,
1년 이후는 사용은 가능하나 업데이트/지원 불가.
나름 합리적인 방식이라 생각됩니다.
즉, 구매후 1년 이후 업뎃 불가외에는 이전보다 좋은 기능이
많습니다.
1) 최초 1년 이용료 : $399 (사이트 라이선스 $999)
2) 1년 이후 : 매해 $159 (Propresentor+ Renewal)
3) 기존 사용자들은 할인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제가 시도해보니 6에서 7으로 가면 $124 할인되는 군요.
매우 최근에 6 구입하신 분들은 무료 업그레이드가 된다는 정보가 있습니다.


https://renewedvision.com/propresenter/whats-new/

[다운링크]
https://renewedvision.com/propresenter/

부속실에도 프로프리젠터를 사용하려는 부속실 컴퓨터가 굉장히 느리거니와


윈도우 프로프리젠터는 현장에서 사용불가한 수준으로 생각되어


중고맥을 알아보다가 최우의 수단으로 윈도우 노트북에 맥을 깔기로 하였습니다.


중고 노트북 레노버 x220  구입하고 맥 설치 중. 두근두근...




바이오스 재설치부터 몇가지 조작을 해야 되지만 일단 설치는 됩니다.





결국 프로프리젠터 까지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완료까지 삽질시간 포함 3시간정도 걸린것 같습니다. 



x220 외부 포트가 displayport 라 변환짹 구매후 듀얼 디스플레이 동작도 확인하였습니다.


무선랜은 동작이 안되어서 구지 사용하고자 한다면 내부 무선랜을 교체하면 되는데 유선랜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 지출은 안하려고 합니다.


하드웨어 구축 전체 비용은 19만원입니다.






현재 170인치 1.2Gain 스크린에 6,000안시 xuwga 프로젝터를 스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론상 전체 12,000안시.


1번 프로젝트의 밝기가 사용시간 2000시간중 1200이상 사용하여 많이 어두워진 상태로

4,000안시로 떨어짐을 가정하고 2번 새 프로젝트의 6,000안시 밝기를 더하면 현재 약 10,000안시로 사용중인 상태이다.


훨씬 색상이 또렷하고 선명해졌다.


약 170인치에서는 10,000안시 이상을 사용하여야 적절한 밝기로 사용이 가능할 듯 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7,000안시 이상은 가격대가 700-800만원 이상부터 시작하므로 150-180인치를 사용하는 곳은

5,000안시 이상 2대로 stack 하는 것이 제일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니 방송실 관련 관리자가

관련 장비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이 없다면 10,000안시 이상의 프로젝터 1대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주변 교회들 LED 설치한 곳을 몇번 보았는데 밝기만 밝고 색상이나 해상도가 엉망인 경우를 많이 보았다.

나중에는 눈이 피곤하여 계속 보는 것이 부담스러웠는데  LED 스크린은 화면 조도 설정하는 기능이 없는 건지

과한 밝기로 청중을 괴롭히는 것 같았다.

이번 설치로 LED 스크린으로 바꾸자는 이야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듯.



 현재 170인치에서 6,000안시(WUXGA)를 사용중인데 원래 밝기가 조금 모자랐고

램프 수명도 다 되어가서 더더욱 어두워졌다. 그렇다고 설치한지 2년된 모델을 바꾸기도 아깝거니와,

7,000-8,000안시 새모델을 구입한다고 해서 많이 밝아지는 것도 아닐 것 같아서 고민이 많이 되었다.


생각끝에  프로젝터 2대로 1화면을 비추는 방법인 스택킹 방법을 이용해보기로 결정한다.


일단 기존에 봉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해당 무게를 지지해줄지도 모르고 브라켓도 없고 지방이라 설치를 해줄 수 있는 업체도 없어서 자체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1. 브라켓 제작

  - 기존 프로젝터의 도면을 입수한 뒤 캐드로 작업하고 스테인레스 제작 업체에 맡겼다. (설계 포함 약 2주 소요)

  - 고려하지 않은 구멍이 있어서 스테인레스 드릴로 재작업. (사실 프로젝터의 제대로 된 도면을 구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계)




2. 설치

  - 아래단에 설치할 제품을 먼저 체결한 뒤에 아시바로 올려서 3명이서 작업.



  - 설치 완료된 상태. 설치작업만 3시간 걸림.

  - 제대로 된 스택 브라켓을 새로 설치하는 것으로 추천함.



3. 세팅

  - 이게 보통일이 아니다. 일단 1대를 먼저 키스톤 맞추어 세팅하고 난 뒤 , 2번째 프로젝터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다들 안할려는 이유가 있었다. 오른쪽을 맞추면 왼쪽이 틀어지고 위쪽을 맞추면 아래쪽이 틀어지고를 반복.
    그러나 시간이 걸릴뿐 안될 일은 없다.
 - 하다보니 나름 노하우가 생겼다. 언제가 다시 맞추어야 될텐데 그때는 1시간내에 완료될 듯.
 - 리모콘은 ID 세팅을 통하여 각각 조정하도록 설정하였다. 켜고 끌때 한대씩 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프로젝터에 리모콘 아웃이 있으면 기존 리모콘 라인으로 기능 가능)
 - 렌즈 시프트와 모서리 상세 키스톤이 지원하는 모델이라면 전부 가능할 것 같음.

4. 완료
  - 이전 화면 (1대 70% 사용 램프)


  - 설치 후 화면 (2대 스택, 1대 100% 램프 + 1대 30% 램프)

    사진으로는 그렇게 달라보이지 않는데 밝아졌다는 느낌보다는 색상이 더 또렷해진 느낌이 더 강하다.

    6,000안시가 12,000안시로 탈바꿈되는 순간.

    -> 1대 램프가 오래되어서 실제 밝기는 약 10,000안시 수준인 듯.

 - 12,000안시(WUXGA) 사려면 약 1,700-2,000만인데 1/4 가격으로 해결. 물론 설치한 방송부원들의 인건비와 도면 제작 및

    관련 정보 수집 및 세팅 인건비는 제외.

 - 처음에는 안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고민이 많았으나 대만족.




5. 결론
  - 역시 돈주고 맡기는 게 정신 건강에 좋다. (그러나 브라켓 제작부터 시작해서 리스크가 많아서 하려는 업체가 없을 듯)
  - 아시바가 너무 흔들려서 고소 공포증 있는 사람은 보험들고 올라갈 것.
  - 가끔식 세팅 정렬 필요
  - 켜고 끌때 귀찮음.
  - 엄청나게 비용은 절약됨.
  - 해당 방법에 의구심을 가졌단 사람들 (본인 포함) 밝기 및 선명도에 대하여 대만족.

  - 초기 설치시 제대로 브라켓 천장에 설치해서 2대 설치를 했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됨.

    (아니면 1대 설치해도 스택 브라켓으로 천정에 미리 설치하면 천천히 예산 모아서 프로젝터 동일 모델 한대 더 구입하면

     추후 밝기 2배 가능)

  - LED 스크린으로 바꾸려다 예산 절감. 눈도 안부시고 딱 좋음!





스택킹 이후로 심심하면 해야 되는 촛점 맞추기.

https://onairit.tistory.com/95?category=705200


 

프로프리젠터 라이센스 구입은 예전 게시물로 한번 설명드린 적이 있습니다.

맥이나 윈도우 한 컴퓨터에 399달러로 시작합니다. 한 장소에서 윈 맥 관계없이 여러대는 699달러.

 

홈페이지에서 파일 받아서 설치하고 회원 가입후 해외결제되는 카드로 결제하시면 됩니다.

메일로 인증키가 날라옵니다.

 

 

 

업그레이드 관련한 정책에 대하여 가격이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1. 프로프리젠터 5(싱글)->6(싱글) (맥 또는 윈도우 고정)  199.5 달러

2. 프로프리젠터 5(장소)->6(장소)                              399.5 달러

3. 프로프리젠터 5(싱글)->6(장소)                              599 달러

4. 프로프리젠터 6(싱글)->6(장소)                              500 달러

5. 프로프리젠터 6(맥)->6(윈도우)                                99 달러

   프로프리젠터 6(윈도우)->6(맥)                                99 달러

 

6.  프로프리젠터 4 ->6(싱글)                                  399 달러

7.  프로프리젠터 4 ->6(장소)                                  799 달러


 

Upgrade Pricing from Pro5 to Pro6 (all prices are in USD)

Single Upgrade from Pro5 to Pro6 for Mac (Mac ONLY)

$199.50
Single Upgrade from Pro5 to Pro6 for Windows (Windows ONLY) $199.50
Campus License upgrade from Pro5 to Pro6 (Mac & Windows) $399.50
Upgrade AND conversion from Pro5 Single License to a Pro6 Campus License (Mac & Windows) $599.00
Convert from a Pro6 Single License to a Pro6 Campus License (Mac & Windows) $500.00
Cross-grade to Pro6 Mac from Pro6 Windows $99.00
Cross-grade to Pro6 Windows from Pro6 Mac $99.00
Transition from Pro4 to Pro6 (all prices are in USD)
ProPresenter 6 for Mac (from existing Pro4 License) $399.00
ProPresenter 6 for Windows (from existing Pro4 License) $399.00
ProPresenter 6 Campus License (from existing Pro4 License) $799.00

 

프로프리젠터간 데이터 공유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페이스북을 통해서 질문해 주신 분이 계셔서 저도 한번 동작 확인 겸 정리해보았습니다.

 

 

시놀로지 NAS 에 공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여러대간 프로프리젠터의 내용을 공유하고 하는 문의 였습니다.

 

원리만 알면 매우 간단하니 아래대로 하시면 됩니다.

 

1. 네트웍 드라이브 생성

   -> 일반 PC 나 NAS 를 이용하여 네트웍 드라이브를 만듭니다. 저는 네트웍이 다른 PC 간 사용하기에 webdav 를 이용하였습니다.

  -> 저의 환경은 맥을 메인으로하고 여러 PC 들을 자동으로 동기화하는 형태입니다.

 

2. 환경설정에서 소스를 선택하고, 메인이 되는 자료를 가진 PC 또는 맥에서 "저장소에 파일 동기화" 로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단, 일반에서 자동으로 라이브러리 관리 부분을 반드시 선택하셔야 됩니다.

 

 

 

3. [소스] 측에서 보면 아래와 같이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안에 보면 라이브러리 파일이 생깁니다.

 

 

4. 다시 다른 프로프리젠터가 설치된 PC 또는 맥에서 [저장소로부터 파일 동기화] 를 하시면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그런데 서버에 지워진 파일은 다운 받은 측에서도 안지워 지는 거 같습니다.

 

5. 참고로 6버전에서 올린 파일을 5에서 동기화해서 받아보았는데 다운로드는 되는 것 같았습니다.

 

 

자주 백업 기능처럼 이용하셔서 자료유실로 스트레스 없는 환경을 구축해봅시다.

 


프로프리젠터 기능 중 재생목록에 관하여 설명드립니다.


굉장히 많이 사용하고 유용한 기능입니다.

처음에는 라이브러리에 있는 파일만 클릭해서 송출하게 되는데,

여러곡이나 여러 파일들을 쉽게 관리하기 위하여 재생 목록을 이용합니다.


왼쪽 아래 보시면 [재생목록] 창이 있는데 맨 아래 왼쪽에 + 부분을 눌러서 필요한 그룹이나 목록들을 생성합니다.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도 됩니다.



그 다음에 생성된 재생 목록을 선택하고 라이브러에서 필요한 파일을 마우스 끌어 당기기로 당겨 옵니다.


신규그룹 아래 New Playlist1 밑으로 파일을 옮겨보겠습니다.

 

해당 이동은 파일이 옮겨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링크정보만 가져오기 때문에 재생목록에서 삭제하여도 라이브러리는 아무 영향이 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재생목록에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합니다.


아래에 보시면 2개의 라이브러를 가지고 오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삭제는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키 누르면 삭제 메뉴가 나옵니다.

혹시 순서를 다시 변경하시고 싶으시면 재생목록에 곡을 선택한후 마우스 좌클릭한채로 원하는 위치로 당겨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재생목록 이름 변경은 변경할 목록 이름에 마우스 좌클릭 2번하시면 변경이 가능합니다.



경험상 라이브러리가 많은데 재상목록을 급하게 변경하면 종료되는 경험도 한적이 있어서 느린 컴퓨터 환경에서는

차분하게 실행하시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몇개월전 업데이트 이후에는 해결된 것 같습니다.


아직 재생목록을 이용하지 않은시는 분들은 강력하게 추천하는 기능입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프로프리젠터로 영상과 자막을 같이 사용할 수가 있다.


먼저 영상을 받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내장카드건 외장 보드이건 일단 장비가 있어야 한다.

맥이라면 썬더볼트로 블랙매직 레코더가 좋을 것 같다.




보기 "커스텀 툴바"에서 "라이브 영상" 아이콘을 위쪽 툴바로 이동하자.




환경 설정에서 해당하는 비디오 입력 기기를 선택하자. 나는 일단 노트북이니 노트북 캠 선택.




라이브 버튼을 누르고 슬라이스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출력된다.




노트북 웹캡 이용시 속도를 보면 약간 느린데 좋은 하드웨어 보드는 다른지 모르겠다. 약 200-300ms 정도 딜레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전 게시물의 멀티 스크린 기능을 이용하면 특정 출력화면에 자막을 나오거나 나오지 않게 조정이 가능하다.




프로프리젠터에 멀티 스크린 기능이 있는데, 어떤 분이 관련하여 질문주셔서 정리해봅니다.


다만, 직접 사용을 해보지는 않아서 된다는 보장은 힘들지만 될 거는 같습니다.


프로프리젠터 환경설정에 보시면 모듈이 있습니다. 몇몇 기능들은 추가로 구매를 하셔야 되는 기능이죠.




멀티 스크린에 들어가보면 ($199 달러 지불하신 뒤에..)

매트록스 듀얼이나 트리플 고우 하드웨어에서만 돌아갑니다.

(Matrox Dualhead2Go , TripleHead2Go) dir $180-$380



여기서 설정을 하시면 프롭스는 보내는 화면과 안보내는 화면

슬라이드 레이어를 표시할 화면과 아닌 화면 설정이 가능합니다.





화면을 이어서 길게 여러개의 스크린으로 보낼 수도 있습니다.


아래 화면으로 모든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저는 사용안해 봤습니다. 될거라고 믿는 거지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