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프리젠터 라이선스를 구입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스크린샷은 맥 기준이나 윈도우도 동일합니다.


1. http://www.renewedvision.com 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데모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2. 저는 맥으로 설치

3. 실행하면 [체험판] 선택하면 , 모든 기능 동일 단,화면 출력시 로고 출력되는 버전과 [바로 구입] 메뉴로 들어갑니다.

체험판으로 사용하시다가 나중에 메뉴에 보면 구입할 수 있는 버튼이 있으니 그 부분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4. 일단 구입화면으로 가면, 교회용 과 사업자,학교,정부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용도에 맞게 선택합니다.

4. PC 나 MAC 1대만 사용하는 라이선스는$399, 동일 그룹에서 여러대  MAC 과 PC 를 동시에 사용하는 버전은 $799 입니다.

해당 라이선스로 1대 구입후 나중에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



5. 영어 성경이 필요하시면, 구입하시고 아니면 아래쪽 스크롤 하셔서 No Thankyou 선택하시면 됩니다.

한글성경은 별도로 판매하고 있지 않으며, 한국에 별도의 판매권한이 있는 딜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 한글 성경만 판매하지 않으며 , 맥프로 본체+프로프리젠터+성경 라이브러리 등을 일괄로 판매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인터네 검색을 통한 정보라 자세한 것은 검색해보시면 여러 다른 게시물에 나옵니다.

6. 필요한 모듈을 추가로 구입하면 되는데 역시 나중에 별도로 구입이 가능합니다.

역시 해당 모듈도 데모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1) Multi-Screen Moduel - 3대 모니터로 각기 다른 화면 출력 기능

               2) Master Control Module - 프로프리젠터 2대로 네트웍을 통하여 나머지 프로프리젠터 제어 기능

               3) Alpha Keyer Module - 블랙맥직사 제품이용하여 리니어 키 사용 기능 (SDI 모듈도 같이 구매해야 됨)

               4) Edge Blending Moduel  - 와이드 기능 필요시 프로젝터 2,3대 사용하여 화면을 한화면으로 넒게 사용 기능

               5) SDI Module  - 블랙매직사 제품 이용 SDI 출력 기능

               6) MIDI Module  - 미디 키보드나 드럼머신으로 프로프리젠터 제어 기능

               7) Communication Module  - DMX 등 여러프로토콜 제어 기능 (화면과 연동한 조명 제어 등등 )

7. 기관 이름 입력하시고 , 마스터나 비자 카드면 이후 구입진행이 되고 메일로 등록키가 전송됩니다.

해당 등록키로 최초 프로그램 실행시 [승인] 해주시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8. 현재 환율로 50만원 안되게 결제 됩니다. 50만원으로 만나는 최고의 프리젠터 프로그램이라 생각됩니다.

참고로 renewedvision 과 저는 아무 관계가 없음을 밝혀드립니다. ㅎㅎ




현재까지 아무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맥버전에서 알수없는 종료가 발생하고 있다.
아마 프로프리젠터6 에서 새로운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증상은 아래와 같다.

1. 왼쪽 아래 재생목록에서 여러개의 라이브러리 등록하여 사용

2. 재생 목록에서 맨 상위의 라이브러리를 삭제하면 (재생 목록 상에서만 삭제됨) 프로프리젠터 강제 종료





해결시도

1. 재생목록 자체를 삭제하고 재생목록을 새로 생성

   -> 정상 삭제는 되나 현상반복

2. 1번이후 프로프리젠터 재설치

   -> 이전에는 무조건 발생했는데 지금은 가끔씩 발생


해결 방안

1. 현재로서는 다음 업데이트 기다림 -.-






프로프리젠터 1년 사용기


1. 50만원 이하로 살수 있는 최고의 프로그램

  -> 싱글 라이선스 $399

2. 단, 한글성경은 해결안됨.

  -> 자체적으로 해결은 하였으나 다른 일반 사용자들은 해결하기 어려움

  -> 파워포인트에서 그림으로 저장하고 불러오기 방법 이용 필요

3. 맥미니 2.5G 램 8G 에서 잘 돌아감.

    -> 중고로 사면 약 50만원 구매 가능

4. PPT 기존 작업자들 완벽 적응

5. 라이브러리 찾기 하면 안에 가사까지 같이 검색

6. 윈도우 버전은 구매하지 말고 되도록 맥 구입

  -> 윈도우는 시스템 사양에 비하여 느린편이고 맥에 비해서 불안함.

이제 프로프리젠터를 운영한지 1년이 넘어가서 나름대로 찬양 라이브러리가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물론 갑자기 요청하는 가사들은 기존에 윈도우에 저장된 가사를 불러오지만, 급한 일이 해결되면 꾸준히 프로프리젠터 파일로 변환 정리하였다. 누군가는 이일을 이미 했을텐데 도저히 관련 자료를 찾을 수가 없어서 어쩔수 없이 하나하나 입력했다.


분명 지구상 어디선가 동일한 가사를 누군가가 먼저 입력했을터인데 그걸 내가 또는 누군가가 반복한다는게 영 탐탁치 않다. 이 일을 반복하는건 전기 낭비, 손가락 관절 낭비인 것 같다.


pro6 파일로 맥에서 작업한 가사로 다들 알아서 본인의 템플릿으로 적용만 하면 각자의 환경에 맞게 변환되리라 생각된다.
일단 18년 7월 현재까지 정리된 찬양 가사들을 공유합니다. (약 1,000곡 / 어른 성도들 용이라 곡들이 좀 old 합니다.)



찬양_v1.32.zip




- 업데이트에 수고해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서로 같이 공유하고 정리하여 업데이트 하였으면 하는데 , github 등을 이용해서 다른 유저들과 버전관리하면서 계속해서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훨씬 나을것 같다.

이일을 같이 할 맘이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하긴 한데 , github 로 프로프리젠터 찬양 및 찬송가 등등의 자료를 같이 공유하고 업데이트 하려고 하는데 댓글로 지원자들을 보고 결정할 예정입니다. 아무도 없으면 그냥 나혼자 업데이트하고 계속 버전관리하고 한명이라도 같이 하려는 사람이 있으면 공개로 서로의 자료를 업데이트하며 버전관리 하겠습니다. 밑에 댓글로 요망합니다.



P.S 1. 처음에는 사람이 별로 없으니 FTP 로 자료 업데이트 시작해보자.

     2. 한곡이라도 추가되면 매주 올리고 있으나, 다른 분들은 아직 아무도 올리고 있지 않음. -.-

     3. 1.20 버전으로 곡 추가하여 업데이트 (17.10.08)

     4. 한달에 한번은 전체 모아서 공유할 예정이니 받기만 하실 분들은 이 블로그에서 가끔씩 받아가시면 됩니다.

     5. 저와 메일 이후 활동 안하시는 분들은 여기서 받아가세요. 공유자료실에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점의 차이일 뿐 공유되는 것은 동일하니,   (벌써 6번째 업데이트가 주기적으로 되고 있습니다)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페널티는 전혀 없습니다. 그냥 가끔씩 생각날때 "땡큐"하면서 클릭 한번만 하면 되는데

         구지 힘들게 공유작업에 참여할 이유는 없습니다. 누구도 강요하지 않고요)

        반드시 라이브러리 제작 참여에 의지가 있으신 분들만 메일 부탁드립니다.

     6. 미사용자 정리하였습니다.
     7. 1.29 업데이트(17.12.03)
     8. 1.30 업데이트(18.02.25)
     9. 1.31 업데이트(18.03.18)
     10. 1.32 업데이트(18.07.01)

Tvheadend 설정

 

1. DVD 입력에서 네트워크 선택

 

 

2. 먹스에서 udp 주소 입력 ( 해당 아이피는 시놀로지의 아이피임)

 

 

3. 입력확인

 

 

 

4. 채널 확인

 

 

 

5. 다른 외부 프로그램 접속 후 정상 연결 확인

 

6. 재생 부분을 클릭하여 m3u 파일 획득

 

7. 프로파일 바꾸려면 user를 등록하고 해당 user  에서 사용가능한 프로파일을 선택해주면, 외부에서 접속시 해당 프로파일로 화질 조정하여 접속이 가능하다.

 

8. 석달째 특별한 설정없이 매주 잘 동작함. 한번도 다운된적이 없음.

 

9. 참고로 긴 주소는 https://goo.gl/ 이용하여 짧게 바꾸고 사용하면 편리함.

 

10. 수요/금요 예배시 별도의 설정없이 지구어디에 있던지 항상 방송 확인 가능.

    -> 별도의 방송요원이 해당 장비 켜라 말라 할 필요 없이 항상 자동 실행됨.

 

 

현재 방송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Openstack 사의 OSBE-2100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기본적으로 HD 영상입력을 TV 송출용 출력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 있든데 IP 스트림 기능도 추가적으로 지원을 한다.

http://openstack.kr

 

 

 


OSBE-2100

Encoder + Modulator All-in-One

 

 
 
OSBE-2100 은 HDMI, SDI, Composite, Stereo Analog Audio 등을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과 음성신호를 H.264, MPEG-2 등의 영상 codec 과 MP2, AAC 등의 음성 codec 으로 압축하고 이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MPEG-2 Transport Stream 로 formatting 한 다음 RF 혹은 IP 로 출력하는 Full HD 급 8VSB Modulator 일체형 방송용 Encoder 입니다.
 
 
 
KEY FEATURES
 
APPLICATIONS
  • Professional Terrestrial and CATV Broadcasting System
  • IP-TV Broadcasting System
  • Video Conference System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기능은 기기간 네트웍으로 1:1 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OSBE-2100 -> PC 로 동작이 가능한지 회사에 문의하였다.

 

문의결과

장비에서 출력할 IP와 포트를 지정하고 , VLC 플레이어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스트림을 열면 정상 동작한다고 한다.

출력 아이피가 지정되므로 아마 다중으로 여러명 접속하여 보는 방송은 할 수 없을 것 같으나, 멀리 떨어진 네트웍으로 연결된 장소 1군데에서만 필요하다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VLC 에서 지정된 PC 에서 udp://@:1234 로 열면 방송이 가능하다고 한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다중 방송을 한다면 아래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테스트가 필요하다.

된다. (2번으로 성공)

 

1. OSBE-2100 -> 특정 PC -> VLC 에서 스트림하기 네트웍크 -> RTSP 방송
2. OSBE-2100 -> 시놀로지 -> tvheadend UDP Multicast -> RTSP 방송

 

 

--------------------------------------------------------------------

 

1.  연결 구성

openstack OSBE-2100 (IP 방송) -> UDP : port 1234 -> Synology (216play) -> tvheadend -> 인터넷망 -> 네트웍 플레이가 되는 비디오 플레이어 (VLC 등, PC 또는 휴대폰)

 

2. 설정

  1) Openstack Output 설정

 

 

 

  2) Openstack 출력 IP 설정

 

            - 내부 NAS 의 주소이다.

 

  2) Openstack 시스템 IP 설정

 

            - 타겟 아이피와 동일한 대역으로 설정 (192.168.1.4)

 

  3) 랜을 연결하면 Link 불이 들어오고 ACT 불이 깜박인다.

 

 

 

  3) tvheadend 설정

    - 오픈스택 OSBE-2100 이용 실시간 네트웍 영상 방송-2 참조

 


  4) VLC 설정 (아이폰용 예제)

    - 안드로이드이면 구글 플레이 / 아이폰이면 앱스토어 / PC 면 VLC 를 검색하여 다운 받는다.

    - 네트웍 플레이 선택

 

 

 

   - tvheadend 에서 추출한 m3u 파일안에 주소를 붙여놓기하고 플레이한다.

 

 

 

 

 

이제 방송실 전원을 켜기만 하면 알아서 자동으로 실시간 방송이 시작된다!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다가 보면 알수 없는 배터리들이 책상위에 돌아다니게 된다.

그리하여 어떤걸 버릴지 다시 사용할지 확인하기 위하여 배터리 테스터기 구입.


BT-168D


만원도 안한다. 아날로그 바늘형태는 더 싸다. 대부분의 배터리의 전압 확인이 가능하다.

단점은 빨간색 지지대가 생각보다 덜 뻑뻑하여 건전지를 끼우고 빨간색 가이드를 손으로 눌러야 된다. 더 뻑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덕분에 책상위에 굴러다니는 건전지들을 싹 정리하였다. 1.2V 이하는 쓰레기통으로!



'음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Zoom H4n pro  (0) 2018.01.09
Yamaha TF 주사용 메뉴  (2) 2017.08.19
Mackie 402 VLZ4  (0) 2017.03.03
모니터 스피커 Presonus Eris E44  (0) 2017.03.03
Behringer Powerplay P1 In-Ear Monitor Amplifier  (1) 2016.08.29

현재 시놀로지 NAS 를 이용하여 , HD 영상 방송을 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알아본 바로는 tvheadend 유틸을 설치하고, 외장형 usb tv 카드를 인식시켜 구동하면 된다는 정보를 얻었는데 하나씩 설정해가면서 문제되는 부분을 정리하고자 한다.

 

일단 주파수는 아래를 참조로 한다.

현재 유선 방송용으로 2번 채널을 사용하므로 ATSC 방식의 2번 채널, 55250kHz 를 선택하여야 한다.

 

 

TV 방송용 채널별 주파수

(VHF / UHF)(54~88, 174~216, 470~752)

 

채널
번호
주파수대
()
할 당
주파수
기준주파수() 채널
번호
주파수대
()
할 당
주파수
기준주파수()
영 상 음 성 영 상 음 성
2 54-60 57 55.25 59.75 32 578-584 581 579.25 583.75
3 60-66 63 61.25 65.75 33 584-590 587 585.25 589.75
4 66-72 69 67.25 71.75 34 590-596 593 591.25 595.75
5 76-82 79 77.25 81.75 35 596-602 599 597.25 601.75
6 82-88 85 83.25 87.75 36 602-608 605 603.25 607.75
7 174-180 177 175.25 179.75 37 608-614 611 609.25 613.75
8 180-186 183 181.25 185.75 38 614-620 617 615.25 619.75
9 186-192 189 187.25 191.75 39 620-626 623 621.25 625.75
10 192-198 195 193.25 197.75 40 626-632 629 627.25 631.75
11 198-204 201 199.25 203.75 41 632-638 635 633.25 637.75
12 204-210 207 205.25 209.75 42 638-644 641 639.25 643.75
13 210-216 213 211.25 215.75 43 644-650 647 645.25 649.75
14 470-476 473 471.25 475.75 44 650-656 653 651.25 655.75
15 476-482 479 477.25 481.75 45 656-662 659 657.25 661.75
16 482-488 485 483.25 487.75 46 662-668 665 663.25 667.75
17 488-494 491 489.25 493.75 47 668-674 671 669.25 673.75
18 494-500 497 495.25 499.75 48 674-680 677 675.25 679.75
19 500-506 503 501.25 505.75 49 680-686 683 681.25 685.75
20 506-512 509 507.25 511.75 50 686-692 689 687.25 691.75
21 512-518 515 513.25 517.75 51 692-698 695 693.25 697.75
22 518-524 521 519.25 523.75 52 698-704 701 699.25 703.75

 

 

 

일단 리눅스에서 호완되는 USB 외장 TV 수신카드를 구입하여 되는데, 예산절약도 하고 실수하지 않아야 되니 아래 사이트 참조.

 

 

https://www.linuxtv.org/wiki/index.php/ATSC_USB_Devices

 

Supported devices

The following table lists the confirmed working ATSC USB devices and provides a brief summary of their features and components. If you need more technical information on a device, have a look at its specific wiki article.

If you are experiencing problems with USB devices, it may not be the fault of the tuner. The chipsets used on some computer motherboards can have problems with USB ports which results in tuners working or partially working or not working at all. This can be solved by using a separate USB adapter with a reliable chipset.

Supported ATSC USB adapters
Vendor and model Date
introduced
Added to
kernel
Frontend Bridge
interface
8VSB QAM NTSC Other features
ATI/AMD
TV Wonder HD 600 USB
2007 (Approximate) 2.6.27
  • XC3028L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D)
Empia EM2883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AVerMedia
AVerTVHD Volar (A868R)
2007 (Approximate) 2.6.27 [1]
  • MXL5003S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Cypress FX2LP
(CY7C68013A)
Yes No No
  •  
DViCO
FusionHDTV5 USB Gold
FusionHDTV5 USB Master
  2.6.16 LG Innotek TDVS-H064F
  • TAU6034 tuner
  • TDA9887 demodulator (A)
  • LG DT3303 demodulator (D)
Cypress FX2LP
(CY7C68013A)
Yes Yes No1
  • S-Video & Composite inputs 1
DViCO
FusionHDTV7 USB
  2.6.26
  • XC5000 tuner
  • AuvitekAU8522 demodulator (A/D)
Auvitek AU0828 Yes Yes No1
  • S-Video & Composite inputs 1
    (breakout dongle)
Elgato
EyeTV Hybrid US
2007 (Approximate) 2.6.26
  • XC3028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D)
Empia EM2883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EVGA
EVGA inDtube
  2.6.31
  • XC3028L tuner
  • S5H1409 (D)
Empia EM2882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Aero-m
2011 (Approximate) 3.1 [2]
  • MaxLinear MxL111SF SoC
    • tuner
    • DVB-T demodulator
  • LG DT3305 demodulator (D)
  • LG LG2161 demodulator (D-m)
MaxLinear MxL111SF SoC Yes Yes No
  • also supports ATSC-M/H !
  • also supports DVB-T !


Hauppauge
WinTV-HVR-850
(2040:651f)
  2.6.29
  • XC3028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D)
Empia EM2883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850
(model 72301, 2040:7240)
  2.6.32
  • XC5000 tuner
  • Auvitek AU8522 demodulator (A/D)
Auvitek AU0828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850
(model 01200, 2040:b140)
  2.6.37
  • TDA18271 tuner
  • LG LGDT3305
Conexant cx23102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950
  2.6.26
  • XC3028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D)
Empia EM2883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950Q
  2.6.26
  • XC5000 tuner
  • Auvitek AU8522 demodulator (A/D)
Auvitek AU0828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955Q
  4.1
  • Si2157 tuner
  • LG Electronics LGDT3306A demodulator (D)
Conexant CX23102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Hauppauge
WinTV-HVR-1950
  2.6.26
  • TDA18271 tuner
  • TDA8295 demodulator (A)
  • S5H1411 demodulator (D)
Cypress FX2LP
(CY7C68013A)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 hardware analog mpeg2 encoder
KWorld
ATSC 315U

(eb1a:a313)
2007 (Approximate) 2.6.31 Thomson DTT 7611A tuner module
  • ? tuner
  • ? analog demod
  • LG LGDT3303 (digital demod)
Empia EM2882 (USB bridge) Yes No  ?
  • aka KWorld PlusTV HD USB-315
  • analog not fully tested?
KWorld
ATSC 330U

(eb1a:a316)
  2.6.27
  • Xceive XC3028 (tuner & analog demod)
  • Samsung S5H1409 (digital demod)
Empia EM2883 (USB bridge) Yes No  ?
  • aka KWorld PlusTV HD Hybrid Stick 330
  • analog not fully tested?
KWorld
ATSC 340U

(1b80:a340)
  2.6.36
  • NXP TDA18271HD/C1 tuner
  • LG LGDT3304 demodulator (D)
Empia EM2870 Yes Yes  ?
KWorld
UB435-Q USB ATSC TV Stick

(1b80:a340)
  2.6.36
  • NXP TDA18271HD/C2 tuner
  • LG LGDT3304 demodulator (D)
Empia EM2870 Yes Yes  ?
  • is identical to the older ATSC 340U, save for using the newer /C2 tuner rev.
  • another model variant (1b80:e346] of the UB435-Q exists and is also supported (see device page)
KWorld
UB435-Q V3 USB ATSC TV Stick

(1b80:e34c)
  3.16
  • NXP TDA18272/M tuner
  • LG LGDT3305 demodulator (D)
Empia EM2874B Yes Yes No
  • V3 uses bulk transfer mode
OnAir/Sasem
USB HDTV
  2.6.26
  • FCV1236D tuner
  • LG DT3302 demodulator (D)
Cypress FX2LP
(CY7C68013A)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 hardware analog mpeg2 encoder
OnAir
USB HDTV Creator
2008 (Approximate) 2.6.26 LG Innotek TDVS-H064F
  • TAU6034 tuner
  • TDA9887 demodulator (A)
  • LG DT3303 demodulator (D)
Cypress FX2LP
(CY7C68013A)
Yes Yes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 hardware analog mpeg2 encoder
Pinnacle
PCTV HD Stick (801eSE)
  2.6.28
  • XC5000 tuner
  • Samsung S5H1411 (D)
Dibcom DIB0700 Yes Yes No1  
Pinnacle
PCTV HD Pro Stick (800e)
  2.6.27
  • XC3028 tuner
  • LG DT3303 demodulator (D)
Empia EM2883 Yes No Yes
  • S-Video & Composite inputs
    (breakout dongle)
Pinnacle
PCTV HD Pro Stick (801e)
  2.6.28
  • XC5000 tuner
  • Samsung S5H1411 (D)
Dibcom DIB0700 Yes Yes No1
  • S-Video & Composite inputs 1
    (breakout dongle)

Note 1:

Hardware should allow it, but the driver has no analog support.

 

 

가만보니 사람들이 Divico Fusion HDTV5 USB 산다고 혈안이 되어 있고 중고나라에도 매물이 없음.

그래서 나와 있는 모델들을 한국에서 구매가 가능한지 전부 찾아보다가 가능한 모델로 생각되는 걸 찾음.

 

OnAir USB HDTV Creator

 

 

일단 2만 6천에 돈 버리는 셈 치고 구매.

모델명에 온에어솔루션 USB HDTV-GT 인데..되려나 모르겠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410082187&scoredtype=0

 

그 다음 결과는 배송 후 이번주에 테스트 예정.

제어판에서는 인식을 하나, 비디오스테이션(Videostation) 에서는 인식 불가이다. 시놀로지에서 사용불가! 

 

링크사이트를 찬찬히 살펴보지 않았던 잘못이 크다.

Unsupported devices

If you own one or more devices from the following list and you want to help with support development, please contact the Linux-Media Mailing List (LMML). Note that if your device is similar to or contains components for which driver development is currently being undertaken, then it is possible that you will pique the developers' interest and can obtain some assistance that, possibly, leads to full support for your device.

However, please note that inquiries to the mailing list:

  • Should NOT be treated as an order drop-off queue. You're soliciting help from volunteer developers who work on V4L-DVB matters in their spare time, and such work can be non-trivial (i.e. requiring even thousands of hours work). So being demanding is one sure route to being ignored. (Honestly, this point really shouldn't even need to be written, but you'd be surprised at the number of irrational individuals who write into the mailing list demanding this or that).
  • May pass without garnering a response—a distinct byproduct of the fact that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developers, whom might be able to help,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roject. Often times, even if they wished to help, their energies are entirely tied up with other projects. In such cases, the best path might be to try to spearhead the driver development for your device yourself, or hire someone who can.

 

 

 

사용기를 추적하여 다시 찾아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DViCO FusionHDTV7 USB deluxe 가능. 단종으로 구하기 어려움
DViCO FusionHDTV5 USB gold/silver/master 가능

DViCO FusionHDTV7 USB nano -> 사용기 없음.
DViCO FusionHDTV7 USB home  판매중이나 불가

 

 

중고도 구하기 힘들고 한번 실패는 하니, 더 이상 모험을 하기에 애매하다.

 

--------------------------------------------------------------------------------------------

NAS 없이 혼자 동작하는 아래 모델(약 13만원)을 구입할까보다.

 

SiliconDust HDHomeRun CONNECT 2-Tuner ATSC DLNA/UPnP Compatible Streaming Media Player, HDHR4-2US

 

https://www.silicondust.com/

 


--------------------------------------------------------------------------------------------

 

덧글로 추천하여 주신 Kworld UB435-Q 는 이베이에서 해외배송이 되는 모델이 약 $49 정도 한다.

최후의 수단인 HDHomerun 구매이전 재 테스트 예정.

 

Kworld UB435-Q 는 윈도우 10 (64bit)에서 매우 동작은 잘하나 , 시놀로지(216J)에서는 역시 인식 불가.

시놀로지 인식 목록을 살펴보니 UB499-2T 모델만 가능.

그런데 회사에서 시놀로지 716+ 에서는 UB2875 device 로 인식함.

 

TV 튜너를 이용한 방송 송출은 포기하고 OPENSTACK OSBE-2100 을 이용한 송출에 도전.

 


다음 게시물에서 알수 있듯이 OPENSTACK 를 이용하여 현재 매우 잘 사용하고 있다.

 

 

 

 

이제 프로프리젠터를 맥에서 운영한지 1년이 다되어 간다. 아직은 메인 예배 영상자료는 PPT 에서 작업한 뒤에 맥으로 그대로 그림으로 옮겨서 프로프리젠터를 이용하나 , 예배시간 전에 사용되는 찬양들은 맥에서 직접 작업하여 라이브러리를 운용하고 있다.


이제는 꽤 데이터베이스가 많이 쌓였는데 , 최신곡보다는 원래 교회에서 많이 부르는 오래된 가스펠위주로 작업이 많이 되어 있다.

공유할까 고민중인데 저작권은?.....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 누가 이부분에서 명쾌하게 설명해주실 분이 안계신가요. 어짜피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가사가 다 나오는데 그걸 정리해서 무료로 제공하면 문제가 되는지 유료사용시에만 문제가 되는지.

사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가사 이용해서 급해서 가사 만들어 송출하다가 어이 없는 오타등으로 황당한 경험을 많이해서 검증된 자료가 필요하긴 할 것 같다.


별도의 게시판을 만들어서 내가 만든 것만 아니라 다른 유저가 작업한 버전도 합쳐서 다시 보유곡을 늘려서 릴리즈하고 하는 적당한 플렛폼이 있다면 좋겠다. 실제 프로프리젠터 사용자는 국내에서 뻔할 거 같고 , 몇명만 모여서 자료를 공유하면 다음번 이용자는 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을거 같은데..


교회 신축을 하면서 기존 구관과 신관사이에 네트웍선말고 배선자체가 안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신관 방송실에서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예배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체 신관에 방송을 하고 있지만 별도로 떨어진 건물에서는 방송하려면 별도의 케이블 가설이 필요하다.

 

나름 고민해본 결과 최종적으로는 4번을 하여야 될 것 같으나, 임시로 3번을 테스트 해보기로 한다.

 

1. 동축 케이블 가설

   -> 비용 및 미관 훼손

2. 유튜브등을 통한 실시간 방송

   ->임의의 외부인에게 송출할 필요는 없음

3. VLC 를 이용한 방송

   -> TV 수신카드가 있는 PC에 VLC 스트림 서버 설치 및 방송을 보려는 PC 에  VLC 수신 프로그램 설치

4. 보유중인 synology NSA 서버에 USB 외장 TV 수신카드 연결 후 실시간 송출 방송

 

 

VLC 는 소스도 공개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다.

참고로, 윈도우,맥,리눅스 어디에서건 설치되는 멀티플랫폼 프로그램이다.

http://www.videolan.org/vlc/index.ko.html

 

전체 연결 방법이다.

 

HDTV 송출용 동축케이블 -> TV 수신카드 -> PC 에서 VLC 스트리밍 서비스 실시 -> 상대편 PC 에서 송출 네트웍주소를 참고로 VLC 에서 스트림 재생

 

단점은, 스트리밍시에는 동시 녹화가 불가하다는 점이다. 지금은 오후예배만 잠시 송출하면 되기에 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TV 수신 카드가 있는 PC 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 미디어 메뉴에 캡춰장치열기(Ctrl-C) 를 클릭한다.

 

 

 

미디어 열기에서 캡춰장치 - TV-디지털을 선택하고, 튜너 카드 채널과 전송시스템 그리고 주파수는 입력하여야 한다.

이부분에서 어떤 옵션을 선택하여야 할지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일단 자신의 방송 채널을 알수 있을테고 보통 주파수를 모를 수가 있는데 찾는 방법은 다음 팟플레이어를 설치한 뒤에 TV 카드를 이용해서 방송보는 메뉴를 찾아서 채널 스캔을 해보면 관련된 정보를 찾아올 수 있다.

참고로 현재 TV 카드는  Skydigital HD Green 이며, 송출 채널은 2번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VLC 에서 현재 TV 방송이 나오는지 먼저 확인한다.

 

 

 

 

 

다음에는 실제 방송 스트림을 해야 하기에 미디어 메뉴에서 스트림하기(Ctrl-S) 를 선택하면 동일한 화면이 나오는데 역시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

아까는 재생 메뉴가 지금은 스트림 메뉴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소스는 atsc: 에서 다음을 누르고, 목적지 설정은 RTSP 에서 추가를 누르면, 포트번호(8854)는 유지하던지 네트웍 방화벽에 따라 바꾸던지 하고

경로에 rtsp://현재아이피/아무이름 을 입력한뒤, 다음을 누르고 네트웍 상태에서 적당한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스트림을 누르면 화면에 나오지는 않지만스트림을 시작하게 된다.

 

확인을 위해서는 일단 동일 PC 에서 다른 VLC 플레이어를 실행한뒤 , 네트웍스트림 열기(Ctrl-N) 을 클릭하고, 아까 입력한 네트웍 주소를 입력하면 정상적인 송출이 될 것이다.

동일 네트웍이라면 로컬 아이피로도 방송이 가능하고, 외부 아이피로 하려면 공유기 등에서 서버가 가능하도록 DMZ 설정을 통하여 외부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테스트해보니 공유기를 2개나 거쳐서 그런지 계속 끊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프로파일을 낮은 성능으로 바꾸고 이리저리 최적화 중이다.
아마 동일 네트웍상에서는 HD 화질도 무리없이 방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테스트 결과 프로파일 선택시 트랜스코딩을 선택하지 않고 asf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어려움은 아래와 같다.

1. 송출할 TV 채널에 대한 정보 찾기

2. 외부 송출시 네트웍 방화벽 문제

3. 송출시 동일 PC 에서는 녹화불가

4. 방송할때마다 세팅하고 프로그램 켜고 , 이 주소를 수신자에게 알려주어야 함.

   -> m3u 파일을 작성하여 바탕화면에 놓아두면 된다.

   -> text 파일안에 rtsp 주소를 기록하고 확장자를 m3u 로 바꾼뒤에 연결 프로그램을 VLC 로 하면 된다.

   -> 휴대폰에서 VLC 플레이어를 다운받아 볼 수도 있다.

 

 

조만간 synology 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송출하도록 개선 작업 예정이다.

 

 

 

 

 

 

 

+ Recent posts